알바생과 직장인 모두 놓치면 손해인 주휴수당에 대한 조건, 계산법, 신고방법까지 꼼꼼하게 알려드립니다. 2025년 최저시급, 2026년 최저시급 정보와 실전 계산 예시, 그리고 무료 계산기 활용법까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주휴수당이란?
1주당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하고 일정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부여되는 유급휴일의 임금으로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근거하여 일한날에 1일치 임금을 더 주는 것입니다. 주휴수당을 받으면 월급의 20%가 증가하고 5일을 근무해도 6일치 급여를 주며 약 30만원의 월급을 더 주기 때문에 놓치면 손해입니다.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조건
(사진출처: 에듀진)
주휴수당은 모든 아르바이트에게 무조건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조건이 정확하게 정해져있기 때문입니다. 법적으로 근로기준법 55조에 나와있는 내용인데,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일을 대 채웠으면 유급 휴일을 줘야하는 것이죠. 조금 더 자세한 지급 조건은 아래와 갔습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
일주일동안 총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하며 하루 3시간씩 주 5일 근무한다면 총 15시간이므로 조건에 맞습니다.
1주일동안 출근
정해진 소정 근로일 모두 출근해 결근이 없다면 주휴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사업주가 지정한 휴무일이나 법적인 공휴일에는 결근으로 보지 않습니다.
근로계약서 확인필수
구두로 계약만하지 말고 근로 계약서를 작성하고 명확히 근무 조건에 기록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학생, 단기 알바, 파트 타이머 모두 포함되며 4인 이하 사업장도 예외없이 적용됩니다. 특히 근로계약서에는 주휴수당 포함여부, 정확한 근무시간, 요일, 급여 지급일 및 방식이 기재되어있음을 확인해주세요. 반드시 서면계약을 해야지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주 14시간 근무 > 미지급
- 중간 무단결근 > 미지급으로 못 나갔으면 병가 처리 해야합니다.
- 15시간 이상 + 개근 > 지급대상
- 해당 주가 끝나면 다음 주에도 계속 일을 해야함(이번주 일하고 다음주에 그만두면 안됨)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이제 가장 중요한 계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직접 계산할 경우 아래와 같으며 일반적으로 네이버나 알바몬 계산기를 사용하면 더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 (1주 근로시간 / 소정근로일수) x 시급
시급이 10,030원인경우 하루 근로시간 6시간, 주 5일 근무하게되면
- 주급 기본급 : 10,030 x 6시간 = 60,180원
- 주휴수당: 10,030 x 6시간 = 60,180원
- 총 주급: 301,000 + 60,180 = 361,180원
아르바이트 시급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이고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으로 확정되었습니다.
구분 | 2025년 | 2026년 | 인상액 | 인상률 |
시급 | 10,030 | 10,320원 | +290원 | 2.9% |
월급 | 2,096,270 | 2,156,880원 | +60,610원 | 2.9% |
주휴수당 신고법
(사진출처: shiftee)
아르바이트는 용돈을 버는 돈버는 수단을 넘어 사회경험의 시작입니다. 그래서 법적으로 권리를 보장해주어야하지요. 스스로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계산법을 적용해 확인하며 지켜지지 않으면 권리를 통해 지켜야 합니다. 주휴수당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는 것입니다. 불행하게도 일부 사업주는 주휴수당 지급 의무를 알면서도 지급하지 않거나 아예 제도를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이럴때는 주저하지 말고 정식 절차를 통해 일한 사람의 권리를 지켜야합니다.
- 고용노동부 1350 고객상담센터에 전화 상담
- 익명으로 상담 가능해 구체적으로 안내를 받습니다.
- 고용노동부 전자 민원센터 온라인신고
- 집에서 쉽게 신청가능하며, 증거 자료를 첨부하면 훨씬 빠르게 진행가능합니다.
- 고용노동청 직접방문해 진정서를 제출하면 근로감독관이 사실 확인후 주사를 실시합니다.
필요한 서류
근로계약서, 출퇴근 기록, 급여 명세서, 통장이체내역 등 객관적인 자료를 제출해야합니다. 없으면 어쩔 수 없지만 있으면 있을 수록 좋고 주휴수당 신고법 절차에서 더 빠르고 정확하게 권리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많은 알바생들이 단순히 돈을 벌고자 일하고 있지만 이것은 사회생활을 시작이자 첫걸음입니다. 이 과정에서 정당하게 권리를 요청하고 근로환경에서도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됩니다.
알바 시급 계산기 활용
(사진출처: OurCalc-온라인 계산기)
요즘 네이버, 정부 고용노동부, 알바 관련 플랫폼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시급 계산기와 주휴수당 계산기 사용 기능을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계산기 활용한 결과는 참고용입니다. 다만 입력값만 정확하면 실제 지급 기준과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근무한 시간 입력
- 2025년 최저시급 확인
- 근무요일, 근무 형태 선택하면 자동으로 총 급여 + 주휴 수당 금액 확인 가능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
(사진출처: 네이버)
주급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면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를 검색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가장 대표적인 계산기로 검색엔진에 검색해 빠르게 알 수 있습니다.
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
(사진출처: 알바몬)
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는 아르바이트 근로자가 급여 권리를 점검하고 정당한 요구를 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알바몬에 접속해 간편알바 내 급여계산기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근무시간과 시급 등 조건을 넣어 계산하면 됩니다.
실전 급여 계산 예시
편의점 아르바이트(주 20시간)
- 기본 주급: 20시간 x 10,320원 = 206,400원
- 주휴수당: 41,280원
- 총 주급: 247,680원
정규직(주 40시간)
- 기본 월급: 174시간 x 10,320원 = 1,795,680원
- 주휴 포함 월급: 2,156,880원
파트타임(주 30시간)
- 기본 주급: 309,600원
- 주휴수당: 61,920원
- 총 주급: 371,520원
공제되는 세금 항목들
근로계약서와 실수령액의 차이가 발생하는데요. 근로계약서에 명시하는 금액은 세금 공제 전 금액이므로 실제 수령할대는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보험이 공제됩니다. 시급에 주휴수당을 포함한 뒤 실제 지급되는 금액은 여러 세금이 공제된 세후 금액입니다.
- 소득세 : 급여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월 120만원 이하시 비과세
- 지방 소득세: 소득세의 10% 추가 부과
- 4대보험 : 주 15시간 이상 근무시 적용
마무리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이자 근무 시간에 대한 보상입니다. 간단한 조건이 충족되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놓치지 말고 꼭 챙겨가세요. 이번글을 통해 주휴수당의 모든것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계산해보셨길 희망합니다. 만약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해서 권리를 지키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알바와 직장생활에서 당당하고 똑똑한 근로자가 되시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