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예금 이자 높은 은행 Best 10 – 2025 예금 전략 가이드

예금 이자 높은 은행 Best 10 - 2025 예금 전략 가이드

(사진출처: 뱅크샐러드)

예금 금리는 낮아지고 있는데, 정작 대출 금리는 오르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매일경제는 “은행 3%대 예금 자취 감춰”라는 제목으로, 예금은 싸게 받고 대출은 비싸게 파는 구조를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3%대 예금 상품은 빠르게 사라지는 중입니다. 금리를 꼼꼼히 따지는 사람이라면, 지금처럼 변동성이 큰 시기일수록 더더욱 ‘내 돈은 어디에 맡기느냐’가 중요해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아직도 예금이자 높은 은행이 어디인지, 직접 비교해보고 예금 전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베스트 10 은행과 상품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 추이
출처: 매일경제
목차

2025년 6월 기준, 예금 이자 높은 은행 베스트 10

순위은행명상품명세전 금리 (%)세후 수령액
1위수협은행헤이(Hey) 정기예금4.3010,363,780원
2위전북은행JB 다이렉트예금통장 4.2010,355,320원
3위전북은행JB 123 정기예금4.0710,344,322원
4위SC 제일은행e-그린세이브예금4.0510,342,630원
5위우리은행WON 플러스예금4.0510,342,630원
6위카카오뱅크카카오뱅크 정기예금4.0010,338,400원
7위케이뱅크코드K 정기예금4.0010,338,400원
8위대구은행IM스마트예금3.9510,334,170원
9위NH농협NH올원e예금3.9510,334,170원
10위한국산업은행KDB 정기예금3.9010,329,940원
출처: MONETA

금융정보 포털사이트 기준 2025년 6월 25일자 실전 예금 상품 금리입니다. 상위 10개 은행 모두 세전 3.9% ~ 4.3% 금리를 제공하고 있어, 실제 예금이자 수준이 공공 공시보다 훨씬 높습니다.

공시 금리와 실전 금리 차이 

공시 금리: 은행연합회/금융감독원 기준

조건 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한 대표 정기예금의 1년 금리
2025년 6월 기준 주요 시중 은행의 금리는 약 2.6 % ~ 2.7% 수준 → 실제 금리보다 약 1.3%  ~ 1.7% 낮음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5%로 인하하면서 공시 금리는 더욱 하락세

실전 금리: 금융정보 포털사이트 기준

특판, 비대면, 모바일 전용 상품을 포함한 실제 가입 금리
예금 금리 베스트 10의 은행이 평균 4%대 금리를 제공
예: 수협은행 Hey 정기예금 (4.30%) vs 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 (2.60%)→ 1천만 원 예치 시 140,000원 이상 차이 발생 

예금 이자 차이의 원인  분석

특판 상품 운영 전략

지방은행, 인터넷 은행, 비대면 위주 은행들이 단기 특판 예금을 통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

우대 조건 적용 유무

일부는 가입만으로 높은 금리, 일부는 급여이체, 카드사용 등의 우대조건을 포함한 금리

공시법과 실전 차이

은행연합회/ 금융감독원은 기본 금리만 공시 의무, 반면 민간 포털은 실시간 특판 금리까지 포함하여 제공

예금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할 사항

예금자보호 한도

1금융권 (은행)1인당 원금 + 이자 합산 5,000만원까지 보호
2금융권 (저축은행, 신협, 새마을 금고 등)각각 별도 한도  적용 (5천만 원) → 자산 분산 예치가 필수
보호 여부 확인‘예금자보호마크’확인 + 가입기관이 예금보험공사 가입기관인지 확인

중도해지 이율

대부분의 예금 상품은 중도해지 시 약정금리보다 매우 낮은 금리 적용
예: 약정금리 4.0% → 중도해지 시 0.5 ~ 1.0% 적용되는 경우 많음
단기 유동성이 필요한 자금은 예금 대신 MMDA나 CMA 상품 고려

세전 VS 세후 수익률 계산

예금이자에는 15.4%의 이자소득세가 부과됨
세전 금리가 높더라고, 실수령액 기준으로 비교해야 실제 수익률 파악 가능
예: 세전 4.0% → 세후 약 3.39%계산식: 세전금리 x (1-0.154) = 세후금리

예금 이자 향후 전망 및 똑똑한 예금 전략

예금 이자 높아도 잘 굴려야 보배…만기 멀었다면 갈아타세요
출처: 경향신문

2025년 하반기,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75%에서 2.5%로 인하했습니다. 이는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 흐름을 반영한 조치로, 향후 정기 예금의 공시 금리 하락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특판 예금 상품의 금리는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은행이나 인터넷 은행을 중심으로 4%대 금리의 비대면 특판 상품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오히려 지금이 고금리 예금에 가입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처럼 단순히 공시 금리만을 참고하기보다는, 금융정보 포털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실전 금리를 함께 비교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예금 상품 선택 시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단기 고금리 특판 상품 우선 공략→1년 만기 4% 이상 상품은 여전히 유효. 가입 조건만 맞는다면 먼저 가입 고려
예금자 보호 기준 고려한 자산 분산→1금융권 5천만 원 한도 내 분산 예치, 혹은 1·2금융권 병행
새후 수익률 계산 필수→세전 금리에만 의존하지 말고, 실수령액 기준으로 수익률 비교
금리 하락 대비 ‘단기+중기’ 병행 포트폴리오 구성→예: 1년 만기 특판 + 6개우러 단기 예금 조합으로 유동성 확보
우대조건 꼼꼼히 체크→자동이체, 앱 가입, 카드 이용 등 조건 충족 여부 확인
よかったらシェアしてね!
  • URLをコピーしました!
  • URLをコピーしました!

작성자 정보

목차